Notice
Recent Posts
Recent Comments
Link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||||
4 | 5 | 6 | 7 | 8 | 9 | 10 |
11 | 12 | 13 | 14 | 15 | 16 | 17 |
18 | 19 | 20 | 21 | 22 | 23 | 24 |
25 | 26 | 27 | 28 | 29 | 30 | 31 |
Tags
- PostgreSQL
- 실시간알림
- frontend
- SSE
- Lag
- 열공하자
- ServerSentEvent
- partitioning
- EventSource
- localStorage
- 파티셔닝
- mariadb
- 성장기
- Partition
- node.js란
- 개발자
- Node.js기본
- node.js
Archives
- Today
- Total
써치킴의 우당탕탕 개발 블로그
[Node.js][Ch1] 개발 서버 실행과 빌드 본문
parcel-bundler를 사용하여 서버 실행
parcel-bundler : 개발 서버를 열어주는 기능을 실행
parcel-bundler 패키지는 개발용(-D)으로 설치하였기 때문에 터미널에서 parcel index.html이 동작하지 않는다.
그러므로,
1. package.json > scripts에 "dev": "parcel index.html" 추가
"scripts": {
"dev": "parcel index.html"
},
> 프로젝트 내부에서 dev라는 스크립트 이름으로 parcel index.html 명령이 동작함
2. 터미널에서 npm run '스크립트이름' 입력
npm run dev
> http://localhost:1234 에서 현재 프로젝트가 실행된다.
parcel-bundler를 사용하여 빌드
1. package.json > scripts에 "build" : "parcel build index.html" 추가
"build" : "parcel build index.html"
> 사용자들이 보는 용도의 결과물이 출력된다.
2. 터미널에서 npm run '스크립트이름' 입력
npm run build
dist 폴더가 생기고 그 안의 index.html 확인 시 코드 난독화가 되어있다.
- 코드 난독화
- 작성된 코드를 읽기 어렵게 만드는 작업
- 빌드된 결과(제품)는 브라우저에서 해석되는 용도로 용량을 축소하고 읽기 어렵게 만드는 등의 최적화
'해야지 Node.js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Node.js][Ch1] NPM 프로젝트의 버전 관리(.gitignore) (0) | 2022.01.27 |
---|---|
[Node.js][Ch1] 유의적 버전(SemVer) (0) | 2022.01.27 |
[Node.js][Ch1] NPM 개요 (0) | 2022.01.27 |
[Node.js][Ch1] NVM 사용법 (0) | 2022.01.27 |
[Node.js][Ch1] 개요 및 설치 (0) | 2022.01.27 |
Comments