Notice
Recent Posts
Recent Comments
Link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||||
4 | 5 | 6 | 7 | 8 | 9 | 10 |
11 | 12 | 13 | 14 | 15 | 16 | 17 |
18 | 19 | 20 | 21 | 22 | 23 | 24 |
25 | 26 | 27 | 28 | 29 | 30 | 31 |
Tags
- PostgreSQL
- node.js란
- Partition
- Node.js기본
- Lag
- mariadb
- 파티셔닝
- frontend
- 실시간알림
- localStorage
- EventSource
- node.js
- partitioning
- 열공하자
- 성장기
- ServerSentEvent
- 개발자
- SSE
Archives
- Today
- Total
써치킴의 우당탕탕 개발 블로그
[Node.js][Ch1] NPM 개요 본문
NPM(Node Package Manager)
전 세계의 개발자들이 만든 다양한 기능(패키지, 모듈)들을 관리
> NPM을 통해 이미 완성된 특정한 기능을 모듈처럼 프로젝트에 활용
NPM 시작
npm을 통한 패키지 관리를 위해 하단 명령어 입력
npm init -y
폴더에 package.json 파일이 생긴다.
- name : 프로젝트 이름
- version : 프로젝트 버전
- description : 프로젝트 설명
- scripts : 프로젝트에서 사용할 수 있는 scripts 명령 명시
- keywords : 프로젝트 키워드
- author : 프로젝트 소유주
- license : 프로젝트 라이센스
NPM을 통해 패키지 설치 (Ex. parcel-bundler)
npm install parcel-bundler -D
node_modules 폴더
, package-lock.json 파일이 추가로 생기고
node_modules 폴더 안에
parcel-bundler 패키지(모듈)를 확인할 수 있다.
package.json 확인 시,
devDependencies 옵션이 생성되고
그 밑에 parcel-bundler 패키지 내역을 확인할 수 있다.
-D를 붙이면 devDependencies, 붙이지 않으면 dependencies에 설치된다. 차이는?
개발용 의존성 패키지 설치 (-D, --save-dev)
npm install -D XXX
- 내가 설치한 패키지들이 개발할때만 필요하고 웹브라우저에서 동작할 때는 필요하지 않다.
일반 의존성 설치
npm install XXX
- 웹브라우저에서 동작할 수도 있다는 개념이다.
NPM 장점
node_modules 폴더를 삭제해도
package.json 내의 devDependencies / dependencies를 통해 노드 모듈을 한번에 설치할 수 있다.
> 터미널에서 npm install 하면 package.json 내 명시된 패키지가 설치된다.
npm install
또는
npm i
package-lock.json
설치된 모듈이 내부적으로 사용하는 또 다른 모듈 또는 패키지 정보가 들어간다.
package.json은 직접적으로 관리, package-lock.json은 자동으로 관리된다.
> package.json, package-lock.json 파일은 절대 삭제되면 안되는 파일이다!
'해야지 Node.js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Node.js][Ch1] 유의적 버전(SemVer) (0) | 2022.01.27 |
---|---|
[Node.js][Ch1] 개발 서버 실행과 빌드 (0) | 2022.01.27 |
[Node.js][Ch1] NVM 사용법 (0) | 2022.01.27 |
[Node.js][Ch1] 개요 및 설치 (0) | 2022.01.27 |
[Node.js] Node.js 기본 (0) | 2021.04.09 |
Comments